블록체인/블록체인 뉴스 & 이슈

코인베이스, 49개 자산 커스터디 중단! 당신의 코인은 안전한가요?

지식의 힘1 2025. 4. 21.
반응형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베이스가 자사의 기관 고객용 플랫폼 '코인베이스 프라임'에서 49개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커스터디 지원을 전면 중단합니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기능 종료를 넘어, 해당 자산의 생존과 유동성, 투자자 신뢰에 심대한 영향을 줄 수 있어 전 세계 시장의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코인베이스

1. 코인베이스의 대규모 커스터디 지원 중단

코인베이스

2025년 4월, 미국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중 하나인 코인베이스는 총 49개 디지털 자산에 대한 커스터디 서비스를 중단하겠다고 발표했습니다. 이 조치는 기관 고객 전용 플랫폼인 ‘코인베이스 프라임(Coinbase Prime)’에서 적용되며, 전 세계 모든 관할권에서 동일하게 시행됩니다. 이번 결정은 단순한 거래 중단이 아닌, 자산 수탁 서비스의 종료를 의미하며, 특히 기관 투자자들에게는 상당한 자산 운용 리스크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무슨 일이 벌어진 건가요?

코인베이스는 자산 정기 점검을 통해 내부 기준에 부합하지 않는 일부 코인에 대해 ‘보관 중단’ 결정을 내렸고, 이는 거래 가능성과는 별개로 기관 수요에 큰 타격을 줄 수 있습니다.

항목 내용
조치 대상 총 49개 암호화폐 자산
적용 플랫폼 Coinbase Prime (기관 전용)
시행 지역 글로벌 (전 세계 관할권 포함)
공식 입장 “정기적인 내부 평가에 따른 결정”

“이번 결정은 고객 자산의 보안을 최우선으로 하기 위한 사전적 조치입니다.” –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

핵심 요약

1. 커스터디 중단은 보관 기능의 종료를 의미

2. 해당 자산은 기관 시장에서 퇴출 위기

3. 전 세계 관할권에 동시에 적용되는 강력한 조치

 

코인베이스 지원 중단 49개 암호화폐 자산 목록  

1. VideoCoin (VID)
2. Coffee Token (CFT)
3. BOSAGORA (BOA)
4. FISCO Coin (FSCC)
5. Sentinel Protocol (UPP)
6. Cellframe (CELL)
7. Ideaology (IDEA)
8. Dorayaki (DORA)
9. CPUCoin (CPU)
10. SIREN (SI)
11. Somnium Space Cubes (CUBE)
12. UREEQA Token (URQA)
13. Oraichain Token (ORAI)
14. UniLend Finance (UFT)
15. Carry (CRE)
16. 0chain (ZCN)
17. Nord Finance (NORD)
18. MahaDAO (MAHA)
19. YOP (YOP)
20. Unipilot (PILOT)
21. QASH (QASH)
22. SparkPoint (SRK)
23. Telcoin (TEL)
24. MixMarvel (MIX)
25. OnX Finance (ONX)
26. EMBLEM (EMB)
27. Newscrypto (NWC)
28. Compound DAI (CDAI)
29. NFTrade Token (NFTD)
30. pNetwork (PNT)
31. E-RADIX (EXRD)
32. EDDASwap (EDDA)
33. Indexed Finance (NDX)
34. RioDeFi (RFUEL)
35. GMO Internet (GYEN)
36. 1717 Bissonnet (1717)
37. The Edison (EDSN)
38. Draper Garland Apartments (GFDG)
39. Forest Crossing Apartments (GFFC)
40. Hello Albemarle (HLAB)
41. Hello Flatbush (HLFB)
42. Hello Lenox (HLLX)
43. Hello Nostrand (HLNO)
44. Lakehouse Oakland (LHOK)
45. Nottingham Village (NTVL)
46. Core Fund (RSCP)
47. Value Fund (RSVA)
48. The Verge at Summer Park Apartments (TVSP)
49. Tower 27 (TWR27)

2. 코인베이스의 자산 정제 기준과 결정 이유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는 기관 고객을 위한 프라임 플랫폼에서 제공해 오던 49개 암호화폐 자산에 대한 커스터디 서비스를 종료하기로 했습니다. 회사는 이번 조치가 “정기적인 자산 심사 및 내부 기준에 따라 수행된 결정”이라고 밝히며, 단순한 제거가 아닌 리스크 관리 차원에서의 체계적 정리 작업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이 같은 결정은 커뮤니티 활동, 개발 현황, 시장 유동성, 규제 리스크 등 다양한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내려진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자산 평가 기준

커스터디 유지 여부는 ‘보안성’, ‘커뮤니티 활성도’, ‘법적 리스크’, ‘시장 유동성’, ‘기술적 지속 가능성’을 기준으로 정기적으로 재평가됩니다.

평가 항목 평가 내용
보안 및 기술 스마트 컨트랙트의 안정성과 노드 운용의 신뢰성
커뮤니티 개발자·사용자 활동, 오픈소스 기여도
규제 위험 SEC 등 규제기관의 심사 대상 여부
시장 유동성 거래량, 시가총액, 주요 거래소 상장 여부

“기관 고객의 수탁 리스크를 최소화하는 것이 우리의 우선순위입니다.” – 코인베이스 인스티튜셔널

핵심 요약

1. 코인베이스는 정기적인 자산 심사를 통해 커스터디 유지 여부 결정

2. 이번 중단은 리스크 관리 전략의 일환

3. 커뮤니티 약화, 유동성 저하, 규제 불확실성 자산이 주 대상

3. 커스터디 종료 대상 자산의 특징

코인베이스

이번에 커스터디 지원이 중단된 49개의 암호화폐 자산들은 대부분 디파이(DeFi), 인공지능(AI), 블록체인 인프라 등 기술 중심의 프로젝트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들 중 일부는 중소 규모의 커뮤니티를 보유하고 있었으며, 여전히 프로젝트 활동은 이어지고 있지만, 거래소의 신뢰성과 유동성 확보 측면에서 약점이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비디오코인(Vid), 커피토큰(KAPE), 센티넬 프로토콜(SENT) 등은 커스터디가 중단되면서 생존에 큰 타격을 입을 수 있는 대표 사례입니다.

지원 중단 자산의 공통점

대부분 기술 기반 프로젝트이지만 커뮤니티 참여율이 낮고, 유동성 및 규제 리스크가 높은 자산으로 분류됩니다.

중단 대상 주요 자산 예시

  • Vid (비디오코인) – 영상 콘텐츠 인프라 토큰
  • KAPE (커피토큰) – 실물 결제 연계 프로젝트
  • SENT (센티넬 프로토콜) – 보안 위협 대응 인프라
  • DFT – 탈중앙 데이터 프로토콜
  • NKN – 분산형 통신 네트워크 토큰

“단순한 기술력보다도 지속 가능한 커뮤니티와 신뢰성이 거래소 커스터디에 있어 더 중요해졌습니다.” – 크립토 자산 분석가

핵심 요약

1. 대상 자산은 기술적 가치 있음에도 거래소 기준 미달

2. 유동성, 커뮤니티 활동성, 보안 이슈 등이 주요 원인

3. 일부 자산은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음

4. 기관 투자자와 시장에 미치는 영향

코인베이스

코인베이스의 이번 결정은 단순한 서비스 중단을 넘어, 기관 투자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보관하고 관리하는 방식에 큰 변화를 예고합니다. 프라임 고객을 위한 커스터디 종료는 직접적인 자산 이전 또는 매도 결정을 유도하며, 특히 거래소와 커스터디 서비스의 안정성이 투자 판단 기준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기관 투자자들은 대체 수탁처를 찾아야 하며, 이 과정에서 해당 자산의 신뢰도 및 접근성이 급격히 낮아질 수 있습니다.

중요 포인트

자산 보관 서비스가 사라지면 해당 자산은 실질적으로 ‘투자 불가’ 상태가 되며, 유동성 및 법적 리스크가 커질 수 있습니다.

영향 대상 구체적 영향
기관 투자자 수탁처 변경 또는 자산 매도 필요
자산 발행 프로젝트 신뢰도 하락 및 생존 압박
시장 전반 불확실성 증가, 보수적 투자 기조 강화

“기관 투자자 입장에선 커스터디 지원이 끊기는 순간, 해당 자산은 더 이상 안전한 투자대상이 아니다.” – 디지털 자산 펀드 매니저

핵심 요약

1. 자산 매도 또는 대체 커스터디 확보 필수

2. 커스터디 종료는 자산 신뢰도 및 접근성에 직접 영향

3. 코인베이스 외 거래소의 대응 여부가 주목됨

5. 자산 가격과 유동성에 대한 파급 효과

코인베이스

커스터디 지원 중단은 단순한 보관 서비스 종료를 넘어서, 해당 암호화폐 자산의 시장 유동성과 가격에 직접적인 악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거래는 계속되더라도 보관 옵션이 사라지면 기관과 고액 투자자들의 접근이 어려워지고, 이는 곧 거래량 급감과 가격 하락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일부 소규모 프로젝트는 이 결정으로 인해 시장에서의 생존 자체가 위협받을 수 있으며, 극단적인 경우에는 상장 폐지나 프로젝트 종료로도 연결될 수 있습니다.

주의할 점

거래소는 여전히 해당 자산의 거래를 유지할 수 있으나, 커스터디가 중단된 자산은 기관 유입이 막혀 유동성 위축이 불가피합니다.

영향 요소 내용
시장 유동성 거래량 급감 가능성, 슬리피지 증가
자산 가격 투자자 이탈로 인한 급락 가능성
프로젝트 존속 극단적 경우 개발 중단 또는 폐쇄 가능성

“커스터디 종료는 곧 투자자 이탈의 신호탄입니다. 시장은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크립토 시장 분석가

핵심 요약

1. 커스터디 중단은 기관 유입 차단 효과

2. 유동성 위축 및 가격 하락 가능성 증가

3. 장기적으로 프로젝트 존속 여부에 영향

6. 암호화폐 투자자들이 고려해야 할 점

코인베이스

이번 코인베이스의 커스터디 종료 사태는 단순히 거래소의 운영 정책을 넘어, 암호화폐 투자자가 반드시 고려해야 할 새로운 기준을 제시합니다. 자산의 수익률뿐 아니라, 보관 안전성지속 가능한 커스터디 지원 여부가 투자 판단에 필수 요소가 되었기 때문입니다. 특히 거래소 또는 수탁 서비스가 사라질 경우, 보유 자산의 유동성, 시장가치, 접근성 모두 위협받을 수 있습니다.

거래소 선택 = 생존 선택

이제 거래소는 단순한 거래 플랫폼이 아닌 ‘자산 생존을 좌우하는 인프라’로 여겨져야 하며, 신중한 선택이 필수입니다.

고려 항목 중요 이유
커스터디 제공 여부 기관과의 연계, 자산 안정성 유지
거래소의 신뢰도 지속 가능성, 서비스 중단 리스크 감소
탈중앙 지갑 활용 거래소 폐쇄 등 외부 요인에 대한 대비

“암호화폐 자산은 보관이 곧 생존이다. 보관처의 신뢰성을 확인하라.” – 블록체인 리스크 분석가

핵심 요약

1. 거래소의 커스터디 정책은 투자 성과에 직결됨

2. 커스터디 불가 자산은 실질적 거래 중단과 같음

3. 중앙화·탈중앙화 수탁 옵션을 혼합해 리스크 분산 필요

코인베이스

핵심 요약

49개 자산 커스터디 중단

코인베이스 프라임에서 커스터디 종료, 거래소 신뢰도 변화 예고

기관 투자자 대혼란

보유 자산 이전 혹은 매도 필요, 대체 수탁처 확보 필수

유동성·가격 영향

소형 자산 급락 우려, 프로젝트 생존 압박 가중

자산 평가 기준 강화

커뮤니티·유동성·보안 등 종합 평가 기준 도입

거래소 선택 중요성↑

이제 거래소는 수익률을 넘어 자산 생존의 핵심 인프라

자주 묻는 질문

Q. 코인베이스의 커스터디 중단이란 무엇인가요?

커스터디 중단은 코인베이스가 특정 자산을 기관 고객을 위한 보관 서비스에서 더 이상 지원하지 않는다는 의미입니다. 이는 해당 자산의 기관 접근성과 신뢰도에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Q. 커스터디가 종료되면 해당 코인을 거래할 수 없게 되나요?

아니요, 거래는 가능한 경우도 있지만 기관 보관이 불가능해져 유동성 및 접근성이 현저히 떨어집니다. 일반 투자자에게도 장기적 불이익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Q. 내 코인이 커스터디 중단 목록에 있으면 어떻게 해야 하나요?

해당 코인의 유동성 및 수탁 가능성을 다시 확인하고, 대체 거래소 또는 지갑 이전을 고려하는 것이 좋습니다. 일부 투자자는 매도를 선택하기도 합니다.

Q. 이 결정은 코인베이스 전체 이용자에게 적용되나요?

아니요. 이번 커스터디 종료는 주로 기관 고객을 위한 Coinbase Prime 플랫폼에 적용되며, 일반 사용자용 거래 서비스에는 당장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Q. 향후에도 유사한 중단이 있을 수 있나요?

네, 거래소는 정기적으로 자산을 평가하고 리스크 요소가 발견되면 서비스 제공을 중단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투자자는 수시로 보관 환경을 확인해야 합니다.

Q. 보관 서비스를 제공하는 다른 거래소는 어디인가요?

바이낸스, 크라켄, 제미니, 커브 등의 거래소 및 커스터디 전문업체(파이어블록스, 앵커리지 등)가 대체 수탁처로 고려될 수 있습니다.

마무리

코인베이스의 이번 커스터디 종료 발표는 단순한 내부 정책 변경을 넘어, 암호화폐 생태계 전반에 걸친 중요한 경고로 해석됩니다. 투자자들은 이제 수익률뿐 아니라 보관 환경과 거래소의 리스크 관리 역량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시대에 직면했습니다. 디지털 자산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선 거래소 선택, 커스터디 서비스의 지속 가능성, 그리고 대체 수탁 옵션 확보가 핵심 요소가 됩니다. 투자의 성공은 이제 ‘어디에 보관하느냐’에서 시작될 수 있습니다.

 

 

가상자산 14종 상장 폐지 결정! 바이낸스 최신 공지 총정리

바이낸스, 2025년 4월 16일 14종 코인 상장 폐지 발표세계 최대 가상자산 거래소 바이낸스가 2025년 4월 16일 기준으로 총 14종의 가상자산을 상장폐지하겠다고 공식 발표했습니다. 이 결정은 커뮤니

niceman486.tistory.com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