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력발전
(1) 서론
신재생에너지 중에서 해양(海洋)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방식에는 조류발전, 조력발전, 파력발전, 해양온도차 발전 등이 있는데 이들 중 조력발전에 대해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2) 조력발전의 원리
① 조수(潮水) 간만(干滿)의 수위차로부터 위치에너지를 운동에너지로 바꾸어 전기에너지로 전환하는 발전방식이다. 조석 발전이라고도 한다.
② 조석이 발생하는 하구나 만을 방조제로 막아 해수를 가두고 수차발전기를 설치하여 썰물 때에 저수지와 해수면의 수위차를 이용하여 발전하여 전기 에너지를 생산하는 방식이다. 조석 간만의 차가 큰 만이나 강 하구에 댐을 건설하고 밀물과 썰물 때에 터빈을 돌려 발전하는 시스템으로 수력발전과 유사한 방식이다
③ 조력발전의 주기는 썰물발전(Ebb Generation)과 밀물 발전(Flood Generation)으 로 이루어진다. 수문을 닫아 밀물 때 들어왔던 물을 내만에 가득 채워 썰물 때에 낮아진 해면으로 가둔 물을 떨어 뜨려 터빈 발전기를 돌려 전기에너지로 전환한다. 또한 밀물 때에도 발전기를 돌려 효율을 높일 수 있는데, 밀 물 때에는 수위 차가 썰물 때보다 적으므로 썰물 발전보다 발전효율이 낮다.

(3) 조력발전의 특징
① 조력발전은 조수간만의 차가 큰 곳에서만 경제적인 발전이 가능하다
② 최근에는 갑문 안쪽의 해양 생태계에 끼치는 영향 때문에 많은 나라에서 조력발전에 대해 회의적이다.
③ 갑문 안팎의 바닷물 소통량이 작아 식물성 플랑크톤의 급증으로 인한 먹이 사슬 변화, 염분의 농도변화 그리고 물고기가 둑을 자유로이 오갈 수 없는 이유로 생태계의 혼란이 우려된다.
④ 또한 강어귀에 침전물이 늘어나 생태계와 발전 모두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
⑤ 그러나 에너지원이 고갈될 염려가 없는 신재생에너지이며, 공해의 원인이 되지 않기 때문에 장차 유망한 발전 방법의 하나이다.
⑥ 우리나라는 서해의 인천만(8.1m), 아산만(6m), 가로림만(4.7m), 천수만(4.5m) 등이 조력발전에 적합한 지역으로 꼽히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는 한국수자 원공사가 시화호 방조제에 국내 최초이자 세계 최대 규모인 시화호 조력 발전소가 건설되었다.
'엔지니어링 > 전기설비 & 전력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접지의 목적 (0) | 2021.12.24 |
---|---|
지구온난화에 대한 대책 (0) | 2021.12.24 |
지중케이블의 냉각방식 (2) | 2021.12.24 |
고압 유도전동기의 보호방식 (0) | 2021.12.24 |
전력기기의 임피던스 영향 (0) | 2021.12.2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