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프매매 원리, 종류 및 방법
김프매매는 선물 거래를 포함하고 있어서 위험성이 높습니다. 이미 자체적으로 고위험 자산인 코인 거래에 선물 옵션 거래의 추가적인 위험이 더해집니다. 그러므로, 꼭 충분한 이해와 사용 방법을 숙지한 후에 이용하시는 것을 권장드립니다.

김프매매 원리
이 포스팅에서는 김프매매에 필요한 헷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습니다. 김프매매는 김프가 낮을 때 매수하고 높을 때 매도하는 전략을 의미하며, 이를 위해서는 헷징이 필요합니다. 헷징은 투자자가 가지고 있는 위험을 줄이기 위한 기법으로, 특히 현물로 보유한 코인의 가격이 하락할 때 손실을 최소화하는 방법입니다.
헷징을 한다는 것은 코인 가격 변동에 따른 자산 가치의 변화를 최소화하는 것으로, 코인 가격이 상승하거나 하락하더라도 투자자의 자산 가치는 동일하게 유지될 수 있습니다. 이런 헷징 기법은 김프매매, 재정거래(보따리) 등에서 주로 사용됩니다.
예를 들어, 업비트에서 비트코인 1개를 매수하고, 바이낸스에서 비트코인 1개를 숏 포지션 오픈했다면, 비트코인 가격이 하락하면 업비트 자산은 줄어들지만, 바이낸스에서의 수익은 증가하게 됩니다. 결국 전체 자산은 변동이 없게 됩니다. 이것이 바로 헷징의 원리입니다.
전체적인 과정은 아래와 같습니다.
- 김프 0%가 되기를 기다립니다.
- 김프 0%가 되면 동시에 현물 매수, 숏 포지션 오픈한다. (김프 0%에 헷징)
- 김프 2%가 되면 동시에 현물 매도, 숏 포지션 종료한다. (김프 2% 헷징 풀기, 김프 목표값은 변동가능)
- 위 과정을 반복한다.
김프매매 종류 및 방법
김프매매에서 헷징하는 방법으로는 'USDT-M 숏 포지션'과 '코인-M 1배 숏'이 있습니다.
1. USDT-M 숏 포지션
1) 방법 : USDT를 담보로 숏 포지션을 오픈하여 헷징합니다. 이 방법은 코인 전송 과정이 없어 가격 변동 리스크를 제거할 수 있지만, 투자금 전체를 활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습니다.(투자금의 반은 현물매수, 반은 숏 포지션) 그러나 선물 거래의 레버리지를 이용하면 이 단점을 보완할 수 있습니다. 즉, 1배 숏이 아니라 3배 정도로 높여서 숏 포지션을 진입하면 적은 자금으로 1배 숏을 했을 때와 같은 전체 포지션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2) 특징 : USDT-M 시장에서 USDT를 담보로 숏 포지션을 오픈하여 헷징.
3) 장점 :
① 코인 전송이 필요 없음므로 수수료가 적음
② 원하는 김프값에 즉시 진입, 종료 가능.
4) 단점 :
① 펀딩피 수익이 비교적 적음.
② 투자금을 전부 활용하기 어려움.
③ 숏 배율을 높일 시 청산위험이 커짐.
2. 코인-M 1 배숏
1) 방법 : 보유하고 있는 코인을 담보로 활용하여 숏 포지션을 잡습니다.(현물 매수 후, 매수한 현물로 숏 진입) 이 방법은 투자금 전체를 김프매매에 활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코인 전송 과정이 필요하여 가격 변동 리스크를 갖게 됩니다.
2) 특징 : 코인-M 시장에서 코인을 담보로 레버리지 1배 숏 포지션을 오픈.
3) 장점 :
① 청산 위험이 낮음.
② 펀딩피 수익이 많음.(현물담보 숏이 펀딩피가 대체적으로 높음)
③ 투자금 전체 활용 가능.(매수한 현물로 숏 포지션 진입이 가능하므로)
4) 단점 :
① 코인 전송 중 코인 가격 변동 리스크 발생.
② 정확한 김프값에 헷징 하기 어려움.
③ 수수료가 많이 듦.(전송 수수료가 추가되므로)
USDT-M 숏 포지션은 코인 전송이 필요 없고 원하는 김프값에 빠르게 진입, 종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반면, 코인- M 1 배숏은 투자금을 전부 활용하고 펀딩피 수익이 많으며 청산 위험이 낮다는 장점이 있지만, 코인 전송 중 가격 리스크와 정확한 헷징 어려움, 수수료 부담 등의 단점이 있습니다. 두 방법 모두 장단점이 있으니, 투자자 본인의 상황과 목표에 맞게 선택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켈리공식계산기_최적투자비중 산출
켈리공식계산기_최적투자비중 산출 켈리 공식이란? 켈리 공식은 여러 차례에 걸쳐 자금을 투자할 때, 가장 높은 수익률을 얻을 수 있는 이론적 방법을 제시하는 공식입니다. 이 켈리 공식을 통...
niceman486.tistory.com
'블록체인 > 트레이딩 & 투자 전략' 카테고리의 다른 글
초보자를 위한 암호화폐 트레이딩 전략 (0) | 2024.07.07 |
---|---|
바이낸스 선물거래 TP 및 SL 설정 방법 (0) | 2024.02.21 |
다우(Dow) 이론 소개 (0) | 2023.12.13 |
하모닉 패턴 종류와 특징 (0) | 2023.11.16 |
엘리엇 파동 이론 : 시장 패턴의 규칙과 특징 (0) | 2023.11.06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