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지니어링/전기설비 & 전력기술

중성선 굵기 산정(KEC 231.3.2)

지식의 힘1 2024. 3. 25.
반응형

중성선 굵기 산정(KEC 231.3.2)

전기 배선의 복잡성, 특히 중성선의 중요한 역할을 탐구하면 안전성, 효율성 및 규정 준수 간의 복잡한 균형을 알 수 있습니다. 선 도체에 대한 중성 도체의 크기는 이러한 균형을 유지하는 데 중추적입니다.

 

중성선 이미지

 

1. 중성선 단면적이 선도체 단면적과 최소한 동등해야 하는 경우

· 2 선식 단상회로

· 16mm2 이하의 구리선 또는 25 mm2 이하의 알루미늄선을 사용하는 다상 회로의 경우

· 3상 회로 내에서 총 고조파 왜형률(THD)이 15~33%로 발생

 

왜형률 이미지

 

2. 중성선 단면적을 선도체 이하로 해도 되는 경우 (아래 조건 모두 충족 시)

· 중성선이 16mm2 이상의 구리선 또는 25 mm2 이상의 알루미늄선을 사용하는 경우)

· 중성선에 과전류 감지기 또는 차단 장치로 보호하는 경우)

· 전류의 3고조파 총 고조파 왜형률(THD)이 15% 미만인 경우

· 평형부하인 경우

 

3. 중성선 단면적을 선도체보다 크게 해야 되는 경우

(조건. 전류의 3고조파 THD가 33% 초과하는 경우, IB : 회로 설계전류)

 

1) 다심케이블의 경우

: 선도체 단면적을 중성선 단면적에 맞추기 (1.45 X IB 이상)

 

2) 단심케이블의 경우

: 중성선 단면적만 크게 하기 (1.45 X IB 이상)

 

중성선과 선 도체의 단면적 사이의 관계는 규정 준수의 문제 이상입니다. 이는 전기 시스템의 안전성, 효율성 및 신뢰성을 보장하는 것입니다.

 

 

단로기의 중요한 역할 이해

단로기의 중요한 역할 이해 전기 공학의 복잡한 세계에서는 회로를 통해 전기 흐름을 관리하는 메커니즘이 중추적입니다. 이들 중에서 단로기는 종종 배후에서 작동하지만 근본적인 역할을 합...

niceman486.tistory.com

 

반응형